자투리실 소진 프로젝트 #3 - 샤오미 배터리 커버와 티코스터
my handicrafts/knit & crochet 2016. 1. 5. 22:39아직도 친구가 준(=버린?!) 자투리 실이 한가득이네요 :$
왼쪽의 연하늘색, 하늘색, 네이비, 검은색의 실들은 바벳블랭킷을 뜨고 남은 것이고
오른쪽의 회색은 뭘 뜨던 건지는 모르겠지만 제일모직에서 나온 고급울실이라고 하네요.
100% 울이라고 했으니 헤라울은 혼방이니 아닐테고 로제스타 중 하나일까요...?
아무튼 푸른계열의 실과 회색실 모두 소재와 두께가 거의 비슷했기에
받으면서 이미 두 개를 섞어서 뭔가 만들어볼 생각을 하고 있었죠 :D
일단 가장 뜨기 쉬운 원형 티코스터 세트입니다.
양이 가장 넉넉했던 회색실로 한길긴뜨기 3단을 떠주고
마지막에 색실로 짧은뜨기로 둘러 포인트를 주었습니다.
제대로 된 설명인진 모르겠으나 제가 뜬 대로 적으면 아래와 같습니다.
- 1단: 매직링으로 시작, 3코 사슬 + 11개의 한길 긴뜨기
- 2단: 3코 사슬 + 23개의 한길 긴뜨기 (매코마다 코늘림)
- 3단: 3코 사슬 + 35개의 한길 긴뜨기 (격코마다 코늘림 - 1코 뜨고 코늘림의 반복), 마감 및 실정리
- 포인트 실로 짧은뜨기 둘러주기 (5코 뜨고 코늘림 - 적당히 쪼그라들지만 않게 군데군데 늘렸어요~)
위와 같이 뜨면 마지막 짧은뜨기 단이 안으로 말리는 경향이 좀 있는데요 +ㅅ+
사진 상의 면과 반대로 뒤집어 놓고 스팀을 줘서 살짝 눌러 다리면 평면으로 쫙! 펴집니다.
순면이라면 그냥 다려도 괜찮지만 이번 건 모직이니 다리미에 직접 닿지 않게 면을 한 겹 덮고 다려줍니다~!
항상 느끼는 거지만 뜨개의 완성은 바로 블로킹이지요 :Db
티코스터로 만들었으니 작은 찻잔도 한 번 올려봤어요.
도톰한 울실이라 한 겹이어도 폭신폭신한 느낌이 있습니다.
이로써 살짝 육각형이 될 것 같은 원형 티코스터 4종 세트가 완성되었습니다~!
한길 긴뜨기로 완성하는 원형 티코스터는 정말 빨리 뜰 수 있어서 중독적인 것 같아요.
연하늘색은 딱 티코스터 테두리 두르니 잘라낼 양도 없이 똑! 떨어졌습니다.
그리고 하늘색은 한 번 더 두를 정도로 간당간당하게 남아있었고
네이비와 검은색은 아직 여러번 두를 수 있을 정도였어요.
이렇게 티코스터 네 개를 완성하고서도 실이 꽤 남아있어서
실이 다 떨어질 때까지 티코스터를 만들까하다가 문득...!
샤오미 배터리 커버를 뜨겠다고 생각만 하고 여태 미뤄왔던 게 떠올랐습니다.
회색실로 바탕색을 깔고 조금씩 남은 실들로 줄무늬 배색을 넣을 생각이었어요.
어차피 저는 코바늘 초보라 줄무늬 배색밖에 할 수가 없습니다 ㅋㅋㅋㅋ
블로그를 참고하며 물방울 무늬를 넣으려고 했지만 영... 모양이 안 나와서 다 풀어버렸어요.
(위 사진 뒤의 꼬불꼬불한 회색실이 이미 두어 번 풀어낸 증거입니다 -ㅅ-a)
예전에 떴었던 마이보틀 커버를 뜰 때와 같이 밑바닥만 뜨고 나면
그 뒤로는 계속 원통으로 떠올라가면 되겠죠.
밑바닥은 타원형(oval로 검색)으로 뜨면 되는데
사슬뜨기로 양 옆 둥근 부분을 제외한 가운데 직선길이만큼 뜨고
양 옆 둥근 부분에서 코늘림을 하면서 원형으로 빙빙 돌아 적당한 타원형 바닥을 만듭니다.
정확한 코 계산은 하지 않고 눈대중으로 작업을 했어요.
어차피 니트 조직이라 조금 작아도 늘려서 입히면 되니까요 :)
그래도 실의 두께를 고려하여 실제 밑바닥보다는 살짝 넓게 떠야 좋습니다.
처음에 반쯤 떠올라다가 샤오미가 잘 안 들어가서 후루룩 풀어버리고 밑바닥을 한 줄 더 떴어요.
회색실이 여유있게 남아있어서 반 정도까지 쭈욱 뜨다가
하늘색 한 줄을 넣고 회색 두 줄, 네이비 한 줄을 넣고 또 회색 두 줄,
검은색 한 줄을 넣고 또 다시 회색 두 줄! 그리고 회색은 여기서 잘라냅니다.
남은 부분은 검은색으로 하려다가 네이비가 더 예쁜 것 같아서 네이비로 마무리했어요.
입혀두면 아래쪽으로 장력이 있는지 자꾸 흘려내리려고 해서
한 두 단 정도 넘치게 뜬다고 생각하면서 넉넉하게 떠야 좋더라고요.
밑바닥 모습입니다.
아주 좁지도 않고 넓지도 않게 적당하게 뜬 것 같아요!
조금 더 넓어도 넣기는 쉬울 것 같았지만 좀 빡빡해야 벗겨지지 않을테니까요.
위에서 본 모습.
10400 mAh 짜리 뚱보 배터리가 쏙 들어갑니다.
샤오미 배터리를 처음 구매할 때 젤리케이스를 선택하지 않은 채로 주문해서
겉면이 긁힐까봐 아니면 그냥 넣고 다니다가 가방 속 다른 물건에 흠이 갈까 불안해서
원래 자기 옷이 아닌 듯한 요상한 스트링 파우치에 넣고 다녔었거든요.
근데 그게 검은색이라 먼지가 잔뜩 묻어 보기에 안 좋았었는데
이렇게 털실로 옷을 입혀주니 딱 좋네요 :Db
요 며칠 사이에 회색과 푸른색의 자투리 울실로 만들어낸 것들입니다.
버려질 수도 있는 애매한 양의 털실로 이렇게 알차게 생산(?)을 했다니 뿌듯합니다 +_ +//
이제 남은 자투리실은 총천연색의 수세미실인데 뭘 떠야 할지 아직 모르겠어요.
역시 수세미를 떠야 할까 싶다가도 수세미로 잘 활용하지 않는 편이라...음;
갈런드를 뜰까도 생각중인데 아크릴실이라 광택이 너무 현란한 것이 문제-
새해가 밝고 일이 본격적으로 시작되고 있는데
뜨개질은 왜 이럴 때 더 땡기는지 ㅠㅠ
취미 시간이 부족해서 슬픈 새해 첫 주입니다.
'my handicrafts > knit & croche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벼르고 벼르던 샤워퍼프 만들기 (0) | 2016.01.17 |
---|---|
틈틈이 떠서 모아둔 원형 티코스터들 (0) | 2016.01.15 |
자투리실 소진 프로젝트 #2 - 애매모호한 크기의 도일리 (0) | 2016.01.05 |
자투리실 소진 프로젝트 #1 - 알 수 없는 수면사 (0) | 2016.01.05 |
달콤한 아이스크림콘 미니 갈런드 - 과정 (0) | 2016.01.05 |